‘매년 급증 영유아’보육책, 세종시 해법은?
어린이집 대폭 확충, 인가기준 완화 등 대책 제시
- 2월 말 어린이집 17개소 개원·증원 1182명 추가 수용
- 중장기 ▲2016년말 총 65개 어린이집 확충, 3,740명 충원 ▲‘17년초 대규모 민간 어린이집 5개소 개원, 1330명 규모 ▲2018년 4개소, 2019년~2029년 11개소 확충 예정
▲ 이춘희 세종시장이 25일 세종시 영유아 보육대책의 대한 일환으로 올해 어린이집 확충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SNS 타임즈
[SNS 타임즈] 매년 급증하고 있는 영유아에 대한 지원책에 고심하고 있는 세종시가 보육시설 수급 불균형 문제 해소를 위해 중장기 보육대책 추진현황을 발표했다.
세종시 영유아 인구는 2015년 기준 2만 2004명으로, 최근 2년 동안 2배이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영유아 급증에 발맞춰 보육시설 확충과 보육서비스 제공 등 보육환경 개선을 위해 세종시는 지난해 12월 ‘세종시 영유아 보육·교육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세종시와 세종시교육청에 따르면, 2016년 취원 대상 인력의 유치원 신청현황은 3300명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수용규모인 1800명에 비해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시와 교육청은 우선 유치원과 어린이집 중복 지원에 따른 허수를 감안해 1000명 정도를 공급부족으로 예측하고, 우선 올해 2월까지 1182명 규모의 어린이집 17개소를 확충한다는 계획을 25일 세종시 정례브리핑을 통해 이춘희 시장이 발표했다.
세종시의 중장기적 대책은 지속적인 어린이집 확충과 인허가 완화, 인가 가능 지역 확대 등으로 요약된다. 이를 골자로 이춘희 세종시장은 25일 정례브리핑에서 올해 단기 대책과 2029년까지의 장기계획을 제시했다.
2016년은 2월 말까지 어린이집 17개소 1182명 추가 수용 외에, 올해 안에 국공립 어린이집 5개소, 민간 34개소, 가정 26개소 등 총 65개소 어린이집을 확충해 수용정원을 3740명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가정 어린이집 인가 기준 완화와 인가 가능지역 확대 등 법적 완화도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따라 당초 350세대 당 1개소만 설치 가능했던 가정 어린이집을 300세대당 1개소로 완화하고, 인가 가능지역도 도담동·아름동 2개지역에서 연서면·금남면·장군면·한솔동 등 4개지역이 추가돼 6개소로 확대 시행된다.
중장기적으로는 내년 초까지 대규모 민간 어린이집 5개소(1300명 규모)가 추가 개원될 예정이며, 2018년까지 4개소, 2019년부터 2029년까지 11개소 등 국공립어린이집 총 15개소를 5개 광역복지센터 내에 확충한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전의면 산업단지 내에는 2017년 3월 산단형 공동 직장어린이집이 개원될 예정이다.
이춘희 시장은 “세종시의 어린이집 지원책은 교육부와 교육청간 입장차가 큰 누리과정 예산과는 별개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누리과정 예산 추이를 봐 가며 지원이 끊기지 않도록 해야겠다는 입장이다”라며 교육청과 계속 협의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