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 발표
진학지도 위해 ‘영역/과목별 등급구분 표준점수’ 공개

[SNS 타임즈]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 11월 12일(목) 실시된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채점 결과를 12.2일 수험생들에게 통지했다.
▲ 자료화면 (사진 = 교육부) © SNS 타임즈
수험생 개인별 성적통지표는 접수한 곳(재학 중인 학교, 시험 지구 교육청, 출신 학교 등)을 통해 수험생에게 교부하고, 아울러 수험생 진학 지도를 위해 ‘영역/과목별 등급 구분 표준점수 및 도수분포’ 자료도 공개했다.
2016학년도 수능에 응시한 수험생은 총 585,332명으로 재학생이 449,058명, 졸업생은 136,274명이다.
국어 A형 274,624명, 국어 B형 309,985명, 수학 A형 391,430명, 수학 B형 156,702명, 영어 영역 568,430명, 사회탐구 영역 322,674명, 과학탐구 영역 230,729명, 직업탐구 영역 7,512명, 제2외국어/한문 영역 71,022명 등으로 나타났다.
사회탐구, 과학탐구 영역에서 2개 과목을 선택한 수험생은 전체 응시자 중 각각 99.7%, 99.9%로 수험생의 대부분이 최대 선택 과목 수인 2개 과목을 선택했다.
국어 A/B형, 수학 A/B형, 영어 영역 응시자의 탐구 영역별 응시자 비율은, 국어 영역의 경우 A형은 사회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이 12.6%, 과학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이 83.2%인 반면, B형은 사회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이 95.5%, 과학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이 1.9%로 나타났다.
수학 영역의 경우 A형은 사회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이 76.1%, 과학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이 20.5%인 반면, B형은 사회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이 1.4%, 과학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이 96.9%로 나타났다.
영어 영역의 경우 사회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이 56.7%, 과학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이 40.6%로 나타났다.
성적통지표에는 유형 및 과목별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을 표기하고, 국어와 수학 영역의 경우에는 유형(A/B형)을, 탐구 영역과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경우에는 과목명을 함께 표기했다.
국어, 수학, 영어 및 직업탐구 영역은 평균 100, 표준편차 20으로, 사회탐구, 과학탐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평균 50, 표준편차 10으로 변환한 표준점수를 사용했다.
영역별 1등급과 2등급을 구분하는 등급 구분 표준점수는 국어 영역의 경우 A형 130점, B형 129점이며, 수학 영역의 경우 A형 136점, B형 124점으로 나타났다.
영어 영역의 경우는 130점, 사회탐구 영역의 경우 과목에 따라 63점~68점으로 분포됐으며, 과학탐구 영역의 경우 과목에 따라 63점~68점으로 나타났다.
직업탐구 영역의 경우 과목에 따라 131점~137점으로 나타났으며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경우 과목에 따라 63점~69점으로 나타났다.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