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뉴스] 2023년 세종교육 주요 업무 계획 (1.31일)
‘다 함께 성장하는 맞춤형 교육’
![[다큐뉴스] 2023년 세종교육 주요 업무 계획 (1.31일)](/content/images/2025/01/but-449.gif)
(오전 10시 Live)
[SNS 타임즈] 최교진 세종시교육감 2023년 세종교육 주요 업무 계획
O 일시: 2023.1.31(화) 오전 10시
O 주요 내용:
- 맞춤형 교육: 놀이, 배움 중심 교육 확대 | 진로 진학교육 지원 강화
- 교육 환경: 세종미래교육 전환, 학급당 학생수 감축, 미래형학교 모델 구축
- 교육복지: 어린이집-유치원 연계 시범유치원 운영, 세종이음학교 개교
- 교육생태계: 통학로 안전지킴이 확대, 초등볼봄 급간식 무상지원
- 교육자치, 행정: 세종교육 대토론회 확대, 학생자치활동·학부모회 예산확대
(주요 질의 요약 편집, 10:40분 update)
1. 시교육청은 그간 마스크 악 영향에 대해 언급해 왔다. 세부 지침에도 불구하고 혼선이 있는 것 같다. 특히 어린이집의 경우는 벗게되며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 교육청의 입장과 대책은?
2. 권익위 발표 26일자 청렴도 2등급 평가에 대해 전해들었다. 공무원으로 1, 2 등급은 기본 의무다. 이전에 5등급으로 떨어졌던 원인은 또, 2등급 다시 오른 원인은 무엇이라 생각하나? 양자 요인에 대한 자체 평가 부탁한다.
3. 다문화 학생들, 세종시에 얼마나 되나? 방과 후 계획을 세워 지도 계획은 없나?
4. 맞춤형 교육 실현 언급했다. 교육감의 방향과 방침이 이상적이고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는 지적이 있다. 학부모들에게는 대학입시가 현실적이고 중요하다. 오늘 언급 없어 아쉬운데, 대학입시 자료 진학율이나 4년제 입학 비율 정리된 것 있나?
5. 이번 2023년 발표 자료에 언급이 없는 것 같다. 운동장과 주변에 나무 수용 설계 계획이 없다, 계획은 있나? 공원 학습 계획도 있으면 알려달라.
6. 전국에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대한 통합 운영 시스템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통합 운영이 되면 교육감은 종사하는 교사들을 어떤 기준으로 배치할 계획인가?
7. 서울과 같은 인구 과밀 도시에서도 폐교가 시작되고 있다. 다행히 세종시는 신도심 중심으로 학교가 증설되고 있다. 그러나 구도심에서는 폐교 위험 학교 있다고 하는데 어떻게 파악하고 있나?
8. 맞벌이 초등 자녀 양육 중요하다. 초등돌봄 급식 무상 지원하면 재원은? 시와 아직 급식재료비 이슈가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 아는데...
또, 돌봄급식에 인스턴트 음식이 제공 된다고 한다. 학부모들은 가공음식에 대해 불안해 하고 건강을 염려하고 있다. 건강한 간식 제공 의향은?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