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에서 만나는 이색 역사체험교육 ‘눈길’
놀이와 굿즈 활용해 몸으로 익히는 백제역사

[SNS 타임즈] 부여군이 사회적기업 백제에서놀자와 함께 추진하고 있는 역사체험교육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2018년부터 매년 문화재청 공모에 선정되며 수월성을 인정받은 ‘지역문화유산 교육사업’을 통해서다.
▲ 역사체험교육 운영 장면. (사진= 부여군/SNS 타임즈)
이 사업은 지역 아이들에게 어떻게 하면 문화유산을 재미있게 교육하고 즐겁게 향유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에서 비롯됐다. 부여에서 자라나는 아이들과 부여를 제대로 알고 싶어 하는 교사들이 대상이다. 올 1학기에만 8개 학교, 17개 학급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 역사체험교육 운영 장면. (사진= 부여군/SNS 타임즈)
수업에는 특별 제작된 VR체험 키트, 컬러링 등이 등장한다. 백제 마지막 수도 사비와 백제금동대향로에 디지털이라는 옷을 입혔다. 인간이 만들어낸 문화유산과 현대 디지털 기술의 접목에 대해서도 생각거리를 던진다.
▲ 역사체험교육 운영 장면. (사진= 부여군/SNS 타임즈)
‘백제외교사신 체험프로그램’은 지난해 문화재청으로부터 ‘문화재교육 프로그램 인증’을 받았다. ▲외교사신 여권 만들기 ▲금동대향로를 지키는 봉황과 용 캐릭터에 복주머니 던지기 ▲유물카드를 대형 홀로그램에 비춰 백제금동대향로 살펴보기 ▲부여10품을 활용한 서동10품 마켓체험 등 흥미진진한 활동으로 가득하다. 체험을 마친 후엔 여권에 비자 스탬프를 받고 수료식도 실시한다.
▲ 역사체험교육 운영 장면. (사진= 부여군/SNS 타임즈)
조선시대 부여를 만나보는 수업도 이채롭다. 5·6학년들이 부여를 떠올리면 으레 연상되는 백제라는 통념에서 벗어나 조선시대 속 부여를 기억하고 생각을 확장해 보는 수업이다. 선비 놀이를 경험할 수 있도록 ‘그림자놀이 키트’도 준비했다. 수북정에서의 과거시험, 다양한 민속놀이 등을 체험할 수 있다.
‘온라인 문화유산 관광 기획자’는 다양한 관점에서 세계유산을 배울 수 있는 수업이다. 중학교 자율학년제 학생들을 위해 마련했다. 학생들 눈높이로 백제 문화유산 안내문을 만들어본다. 백제 사비시기의 우수성, 문화재 등을 직접 검색하고 만들며 지역의 자부심과 지식을 한 번에 알게 되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내가 보여주고 싶은 백제 가상박물관 만들기’ 수업도 빼놓을 수 없다. 온라인으로 백제 가상박물관을 만들어 보는 시간이다. ‘온라인 문화유산 관광 기획자’ 수업에서 만들어 둔 안내문이 활용된다. 전문 디자이너 교육을 거친 후 백제 문양 문화상품을 디자인해 보는 시간도 마련돼 있다.
모든 프로그램은 매 학기 초 교육청과 학교에 공문을 발송해 선착순으로 학교별 신청을 받아 진행되고 있다. 현재는 ‘2022 지역문화유산교육사업’과 함께 ‘2022 명품교과서투어’ 신청을 받는다.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