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 CRE 감염증 발생 차단 총력
관내의료기관 종사자 대상 예방 교육 실시

[SNS 타임즈] 부여군은 항생제가 듣지 않아 치료가 어려운 감염병인 ‘CRE 감염증’의 의료기관 내 발생을 차단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7일 밝혔다.
‘슈퍼박테리아’로 불리는 CRE 감염증은 중증 감염 치료제인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장내 세균목 균종에 의한 감염 질환으로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항생제가 제한되어 있고 혈류 감염이나 요로감염, 폐렴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환자나 병원체 보유자와 접촉하거나 오염된 의료기구·물품, 오염된 환경의 표면을 통해 전파되고 특히 의료기관 내에서 확산될 수 있어 관리가 중요하다.
부여군의 CRE 감염증 발생 건수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2022년 3건, 2023년 6건, 2024년에는 11건으로 전년 대비 66.6% 증가했다.
2025년 6월 기준으로도 8건이 발생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부여군보건소는 관내 의료기관 3곳, 충남감염병관리지원단, 논산백제종합병원과 함께 CRE 감염증 발생 차단을 위해 전파경로 접촉주의, 환자격리, 환경소독 등의 내용으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의료기관 종사자 교육을 진행했다.
유재정 보건소장은 “CRE 감염증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해 의료기관의 모니터링과 신속한 신고로 균주 확인, 격리 및 접촉자 검사 등 적극적인 감염관리가 필수”라며, “의료기관 등과 협조해 의료 관련 감염병 감시·관리 등 현장 대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Copyright, SNS 타임즈 www.thesnstim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