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우편투표 및 전자투표기 폐지 선언… “선거 정직성 되찾겠다”
2026년 중간선거 앞두고 행정명령 예고, 미국 내 논란과 한국 부정선거 우려 속 반응 엇갈려
[SNS 타임즈- LA]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8월 18일(현지시간) 우편투표와 전자투표기기를 폐지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공식적으로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설립한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Truth Social)과 백악관 회담에서 이 같은 계획을 발표하며, 2026년 중간선거에서 선거의 정직성을 보장하기 위해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발표는 미국 내 선거제도 개혁 논란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부정선거 의혹이 큰 이슈로 부각된 상황에서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트럼프의 공식 발표: “우편투표는 부패의 온상”
트럼프 대통령은 8월 18일 트루스소셜에 게시한 글에서 “우리는 민주당이 전례 없는 수준으로 부정을 저지르기 때문에 우편투표를 폐지하기 위한 운동을 시작할 것”이라며, “매우 부정확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논란이 많은 전자투표기기도 함께 없애겠다”고 밝혔다.
그는 전자투표기기가 “정교한 워터마크 종이보다 10배 비싸다”며, 워터마크 종이 투표가 더 빠르고 신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주(州)들은 연방정부의 대리인에 불과하며, 대통령이 대표하는 연방정부의 지침을 따라야 한다”고 덧붙이며, 연방정부의 선거 개입 권한을 강조했다.
같은 날, 트럼프는 백악관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회담 중 기자들의 질문에 “우편투표는 부패(corrupt)하며, 진정한 민주주의를 불가능하게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캘리포니아에서 일부 사람들이 5, 6, 7장의 투표용지를 받는 부패가 일어났다”며, 최고의 변호사들이 행정명령 초안을 작성 중이라고 밝혔다.
트럼프는 우편투표가 민주당의 “극좌 정책”을 뒷받침하는 부정의 수단이라고 비판하며, “공화당은 선거의 정직과 정의를 되찾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울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는 특히 2020년 대선에서 조 바이든 전 대통령에게 패배한 원인을 우편투표 부정으로 돌리며, 이 같은 주장을 반복해왔다.
소셜 미디어 반응: 지지와 비판 양극화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는 X 플랫폼에서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공화당 지지자들은 트럼프의 계획을 환영하며 우편투표 폐지를 선거의 투명성을 높이는 조치로 평가했다.
X 사용자 @FoxNews는 “트럼프 대통령이 우편투표와 투표기기를 없애겠다고 발표하며 ‘강하게 싸우겠다’고 밝혔다”고 게시하며 지지 입장을 보였다. 마찬가지로, @RealTonySLee는 “트럼프 대통령이 우편투표와 부정확한 전자투표기 폐지를 선언했다”며 그의 주장을 지지했다.
반면, 민주당 지지자와 선거 전문가들은 이 계획이 투표권을 제한하고 헌법을 위반할 가능성이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nytimes는 “트럼프가 우편투표 폐지를 추진하지만, 공화당은 2024년 선거에서 우편투표를 적극 활용해 성과를 냈다”고 지적했다.
일부 X 사용자는 우편투표가 군인, 장애인, 해외 거주자 등에게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며, 우려를 표했다. 한 사용자는 “우편투표 없애면 투표소 접근이 어려운 사람들은 어떻게 투표하나? 라고 비판했다.
해외 주요 매체 반응: 회의적 시각과 법적 우려
해외 주요 언론은 트럼프의 발표를 대체로 회의적으로 바라보며 법적·실제적 한계를 지적했다.
뉴욕타임스 (The New York Times): 트럼프의 우편투표 폐지 계획은 주 정부의 선거 권한을 침해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헌법 제1조 4항에 위배된다고 보도했다. 또한, 공화당이 2024년 선거에서 우편투표를 활용해 승리한 점을 들어 트럼프의 주장이 모순적이라고 비판했다.
로이터 (Reuters): 트럼프의 행정명령이 주 정부의 강한 반발로 법적 소송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민주당 지지자들이 우편투표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경향이 있어, 이 조치가 공화당에 유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BBC: 2017년 브렌난 정의센터 연구에 따르면 우편투표 부정은 0.0009%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또한, 캐나다, 독일 등 34개국이 우편투표를 사용한다고 지적하며 트럼프의 “미국만 우편투표를 사용한다”는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고 보도했다.
한국의 맥락: 부정선거 논란과 공감
한국에서는지난 2025년 6월 3일 대통령선거과 이전 주요 선거들을 둘러싼 부정선거 의혹이 큰 이슈로 부각되며, 소위 좌파로 불리는 제외한 대다수 국민들이 선거 결과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국민들이
국제선거감시단(IEMT)은 사전투표와 당일투표 간 통계적 격차, 전자개표 시스템의 투명성 부족, 투표용지 처리 과정의 문제 등을 지적하며 부정선거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트럼프의 우편투표 폐지 선언은 한국 내 보수층과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는 단체들 사이에서 공감을 얻고 있다.
X에서 한국 사용자들은 “한국도 사전투표 문제 심각하다. 트럼프처럼 투명한 선거를 해야 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반면, 일부는 “트럼프의 주장은 근거가 부족하며, 한국 상황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논란과 법적 도전 예상
트럼프 대통령의 우편투표 및 전자투표기 폐지 선언은 미국 선거제도의 근본적인 변화를 예고하며 뜨거운 논쟁을 낳고 있다. 한국 내 부정선거 의혹과 맞물려 그의 발언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반 트럼프 성향의 매체나 단체를 중심으로 헌법적 권한과 실효성을 지적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들은 트럼프의 행정명령이 주 정부와의 법적 충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고 있는 가운데, 2026년 중간선거를 앞두고 미국 정치의 긴장이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