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scribe to Our Newsletter

Success! Now Check Your Email

To complete Subscribe, click the confirmation link in your inbox. If it doesn’t arrive within 3 minutes, check your spam folder.

Ok, Thanks
미국-우크라이나, 핵심 광물 협정 체결…경제·안보 협력 강화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 (출처: @white_lenka X 계정/SNS 타임즈)

미국-우크라이나, 핵심 광물 협정 체결…경제·안보 협력 강화

전문가들, 실질적 자원 개발과 수출 본격화까지 최소 2~3년 소요 전망. 향후 추가 협정 체결 여부에 주목

Jason Jung profile image
by Jason Jung

[SNS 타임즈- LA]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우크라이나의 희토류, 리튬, 티타늄 등 핵심 광물 개발을 위한 협정에 최종 서명하며 양국 간 경제 및 안보 협력을 한층 강화했다.

이 협정은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제공한 약 720억 달러 규모의 지원에 대한 보상 성격을 띠며, 양국이 공동으로 관리하는 ‘미국-우크라이나 재건 투자 기금’ 설립을 골자로 한다.

협정의 주요 내용

4월 30일(미국 현지 시간) 체결된 이번 협정은 우크라이나의 천연자원 개발에 미국이 우선 투자 권한을 갖는 구조로, 미국이 기금의 상당 지분을 통제하며 수익에 우선권을 부여받는다.

협정문에는 우크라이나가 자원 및 인프라 수익의 약 50%를 기금에 투입한다는 조항이 포함되었으나, 초기 논란을 일으켰던 5,000억 달러(약 720조 원) 규모의 수익 확약 조항은 수정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또한, 우크라이나가 요구했던 구체적인 안보 보장 조항은 포함되지 않았지만, 미국 재무부는 이를 “경제적 안보 보장”으로 간접적으로 충족한다고 주장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가 막판 수정안을 제시했으며, 협상은 매우 근접한 단계”라며 서명 준비가 완료됐음을 밝혔다.

(출처: @white_lenka X 계정/SNS 타임즈)

우크라이나 측에서는 율리아 스비리덴코 제1부총리 겸 경제장관이 “협정은 경제 파트너십과 재건을 위한 중요한 진전”이라며 긍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해외 주요 외신 반응

보도블룸버그는 이번 협정이 “몇 주간의 치열한 협상 끝에 타결되었다”며, 미국이 우크라이나의 핵심 광물 접근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을 강조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키이우가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과거 군사 지원에 대한 부담을 덜어내는 양보를 얻어냈다”고 보도하며, 협정이 우크라이나에 다소 유리하게 조정됐다고 평가했다.

AP통신은 협정에 ‘러시아의 전면적 침공’이라는 표현이 포함된 점을 주목하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러시아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간접적으로 드러낸 사례로 해석했다.

백악관은 4.30일 공식 브리핑에서 이번 협정을 “우크라이나 재건과 경제적 안정화를 위한 중대한 발판”이라고 평가했다.

마이클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은 “미국과의 경제적 파트너십은 우크라이나에 실질적인 안보를 제공한다”며, 추가 군사 지원보다는 경제 협력에 방점을 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협정 서명 직전 “이 협정은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제공한 지원에 대한 공정한 거래”라며, “희토류와 자원을 통해 AI와 무기 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소비자 및 X 플랫폼 반응

소셜 미디어에서도 이번 협정에 대한 다양한 반응이 나타났다.

X의 @business 계정은 “우크라이나 협상단이 워싱턴에서 협정을 최종 조율 중”이라며 긍정적인 분위기를 전했고, @Reuters는 “마지막 순간의 수정 요청으로 서명 시점이 불확실했다”고 보도하며 협상의 긴장감을 부각시켰다.

@junssi1982는 “이번엔 진짜 체결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고, @Geconomic은 “재건 투자 기금 설립이 협정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일부 사용자는 “우크라이나가 경제 식민지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며 협정의 불공정성을 비판했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협정이 우크라이나의 자원 개발을 가속화할 것이라는 낙관론과 함께, 미국의 과도한 영향력에 대한 경계심이 공존했다.

특히, X에서 “미국이 우크라이나의 자원을 약탈한다”는 의견이 일부 공유됐지만, 이는 소수에 그쳤다.

이번 협정은 우크라이나의 자원 개발과 경제 재건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가능성이 크지만, 안보 보장 부재와 미국의 기금 통제권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남아 있다.

전문가들은 실질적인 자원 개발과 수출이 본격화되기까지 최소 2~3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며, 향후 추가 협정 체결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

Jason Jung profile image
by Jason Jung

Subscribe to New Posts

Lorem ultrices malesuada sapien amet pulvinar quis. Feugiat etiam ullamcorper pharetra vitae nibh enim vel.

Success! Now Check Your Email

To complete Subscribe, click the confirmation link in your inbox. If it doesn’t arrive within 3 minutes, check your spam folder.

Ok, Thanks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