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컨택센터 산업 전문가 한자리에
'컨택센터 산업 발전방안 열띤 토론'
대전시·대전시컨택센터협회, 제10회 대전컨택센터 기술․운영 컨퍼런스 개최
[SNS 타임즈] 대전광역시와 (사)대전시컨택센터협회는 10일 오전 유성 라온컨벤션호텔에서 전국 컨택센터 협회 관계자 및 회원사 등 16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10회 대전컨택센터 기술운영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올해로 10회째를 맞는 이날 행사는 그동안 지식기반서비스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컨택센터 산업이 20여 년간 비약적인 발전을 했지만 4차산업혁명시대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컨택센터 미래 경쟁력의 선제적 강화로 지속적인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수도권 컨택센터전문가와 컨택기업대표 100여명, 지역의 컨택센터 종사자 60여명이 참석해 컨택센터의 AI, 챗봇 등의 기술ㆍ운영전략을 중심으로 우수사례 발표와 토론을 통해 컨택센터의 비전 제시 등 성공적 운영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쏟아졌다.
▲ 키노트 발표자로 나선 자이냅스 강진범 박사가 AI 기술도입 전략 및 방향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정대호 기자/SNS 타임즈)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자이냅스 강진범 박사는 ‘AI 기술 도입전략 및 방향’을, 심정래 컨조인트 컨설팅 대표는 ‘미래 컨택센터 모습’을, 박종필 NH농협차장은 ‘농협챗봇 구축사례’ 등을 주제로 컨택산업의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김훈동 이마트 온라인사업부 e커머스총괄의 ‘Big Data 및 AI 기술 시장 동향 관점에서 바라본 CS봇의 활용 가능성 및 실 적용 사례’발표는 지역에서의 성장 장애와 해결 방안을 짚어보고 전체 토론을 통해 발전방안을 논의하는 장이됐다.
대전시 한선희 과학경제국장은 “대전시 소재 컨택센터에서 근무하는 인원은 현재 1만 7000여 명으로 전국 최고수준”이라며 “표준어 구사와 광역교통망의 편리성, 물류중심의 여건 등으로 컨택산업 관련 기업들이 대전을 선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행사를 통해 대전컨택센터의 입지우수성을 전국에 알리고 컨택센터 신규유치에 박차를 가하겠다”며 “대전컨택센터협회를 통해 컨택센터 상담사 양성과정이 연중 실시되고 있으니 청년과 여성 등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 박남구 대전시컨택협회 회장이 개회사를 통해 컨택산업의 변화와 앞으로의 대응 방향에 대해 밝히고 있다.
(사)대전시컨택센터협회 박남구 회장은 “그동안 지식기반서비스산업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컨택산업은 그동안 20년동안 비약적인 발전을 통해 산업의 한축으로 자리 매김하였다”면서, “그러나 미래의 컨택센터는 인공지능과 챗봇 도입으로 많은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또, “현재 대전지역 상담사는 17000 여명으로 대전시가 컨택센터 메카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며, “대전시는 컨택센터 유치를 위해 시설비와 교육 및 채용 등의 지원을 하고있고, 협회도 대전시와 협조해 정보교류와 전문교육 등 필요한 준비를 철저히 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관련 Live 영상 기사: http:///ArticleView.asp?intNum=14996&ASection=001051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