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 맞아 '2025 세종한글축제' 개막... 한글문화도시 비전 담아
10월 9일~11일 3일간 세종호수공원 일원서 한글문화 축제 향연
[SNS 타임즈] 세종시가 한글날인 오는 10월 9일부터 11일까지 3일간 세종호수공원 일원에서 '2025 세종한글축제'를 개최한다.
올해부터 기존 '세종축제'에서 '세종한글축제'로 명칭을 변경한 이번 축제는 '세종, 한글을 품다'를 주제로 한글의 우수성과 세종대왕의 애민·창조 정신을 계승하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관련 현장 Live 방송: https://www.thesnstime.com/mujogeon-raibeu-2025-sejonghangeulcugje-gaecoe-hangeuleul-mannago-gwahageul-ceheomhanda-9-25il/)
한글 정체성 강화한 차별화된 프로그램
세종시는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대한민국 문화도시'이자 전국 최초 '한글문화도시'로 지정된 것을 계기로 축제의 정체성을 확립했다. 한글의 언어와 문화적 우수성을 체감할 수 있는 기획을 지난해보다 2배 이상 늘리고, 각종 명칭에서 영문 표기를 지양하며 한글 표기를 준수하는 것이 특징이다.
축제 첫날인 10월 9일에는 세종시 명소를 달리는 한글런을 시작으로, 외국어 가사를 한글로 개사해 부르는 '한글 노래 경연대회', 어린이·외국인 대상 조선 과거시험 체험극 '한글대전: 세종 인재를 뽑다' 등이 진행된다.
둘째 날에는 한글 어법과 속담을 알아보는 '황금종을 울려라' 퀴즈대회가, 셋째 날에는 세종시 최초로 외국인과 다문화 가족 대상 '한국어 말하기 대회'가 열린다.
드론·불꽃쇼로 장식되는 화려한 개폐막식
개막행사에서는 공군 블랙이글스 에어쇼로 한글날을 기념하고, 사물놀이 거장이자 세종시 홍보대사인 김덕수와 함께하는 사물놀이 한마당이 펼쳐진다. '아메리카 갓 탤런트' 결선 진출팀인 세계태권도연맹시범단의 공연도 예정되어 있다.
개막 주제 공연 '한글이 꿈꾼 세상'은 시민기획 공모로 선정된 '담비싱어즈'가 한글 창제의 위대한 여정을 유명 뮤지컬 곡으로 해석한 노래극으로 꾸며진다. 밤하늘을 한글로 채우는 드론 공연으로 첫날의 막을 내린다.
마지막 날에는 충녕이와 함께하는 어린이 취타대의 <대취타 행렬>과 세종시 상주 국립심포니콘서트오케스트라의 <세종의 밤, 너나들이 콘서트> 초청 공연이 열린다. 폐막 주제공연 '빛나는 한글, 세종을 노래하다'에서는 어린이 합창단 '세종리틀싱어즈'와 '생동감크루'가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공연을 선보이며, 불꽃 연출로 축제의 대미를 장식한다.
시민 참여형 축제로 정착
축제 기간 내내 즐길 수 있는 상설 프로그램으로는 지난해 인기를 끌었던 대형 목조인형 '젊은 세종 충녕'이 올해는 현대 복장으로 갈아입고 관람객을 맞이한다. 중앙공원 장미원의 야외 독서공간 '세종 반딧불이 독서 뜰'과 세종컨벤션센터 차 없는 거리의 '세종한글놀이터'도 운영된다.
시민기획 <축제 속 작은 축제> 공모에 선정된 17개 팀이 체험·전시·공연을 선보이고, 축제 기획자 양성을 위한 <세종축제단> 17명이 홍보와 친환경 분야에서 활동한다. 홍익대 세종캠퍼스와 한국영상대 등 관내 대학들도 축제 상징물 개발과 무대 영상 제작으로 협업했다.
체류형 관광과 친환경 축제 실현 | 시 전역 연계 프로그램 풍성
축제는 낮에는 다양한 공연과 체험이, 밤에는 드론과 불꽃이 빛나는 '낮부터 밤까지 즐거운 축제'로 구성된다. 세종호수공원 외에도 조치원1927아트센터의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 관내 갤러리 10곳과 연계한 전시·행사로 관광객의 체류를 유도한다.
기후위기 극복에 동참하고자 친환경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올해 처음 음식물 다회용기를 도입해 폐기물을 줄이는 것도 특징이다. 소상공인과 연계한 '세종한글축제 가게'를 모집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한다.
공공기관과 민간단체 등 총 40개 기관이 축제를 준비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나성동 도시상징광장에서는 10월 10일 2027 충청권 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 기념 <세종 흥이나유 텐텐클럽>이 열리고, 세종중앙공원에서는 <KBS 전국노래자랑>, <세종과학집현전>, <한글 상품 박람회> 등이 펼쳐진다.
축제 기간을 전후해서는 조치원1927아트센터의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10월 12일까지), 박연문화관의 국립한글박물관 특별전시 <오늘의 한글, 세종의 한글>, 시 전역 10개 갤러리의 <세종미술주간: 갤러리 가는 날> 등 다양한 전시와 관광상품을 체험할 수 있다.
박영국 세종시문화관광재단 대표이사는 "세종한글축제가 시민이 즐겁고, 다른 지역에서 찾아오며, 세계가 주목하는 대표 한글 축제로 성장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격려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