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재난 대비 역량 Up’
세종시교육청 안전체험교육원 ‘이렇게 운영된다’

조치원읍 서북부지구 위치, 236억여 원 투입
자연재해, 생활안전 등 12개 체험관, 산행안전은 전국 교육청 중 유일
유‧초‧중‧고학교급별 발달단계에 맞는 체계적인 안전교육 가능
▲ 세종시교육청 안전체험교유원 2층에 마련된 항공안전체험관. (출처: 세종시교육청/SNS 타임즈)
[SNS 타임즈] 지난 2020년 7월 착공한 세종시교육청 안전체험교육원이 1년 2개월 만에 완공된 모습을 드러냈다.
세종시교육청 최교진 교육감은 10.12일 언론브리핑을 통해 안전체험교육원 건립과 운영방안에 대해 밝혔다.
▲ 세종시교육청 최교진 교육감이 12일 언론브리핑을 통해 안전체험교육원 개원과 운영방안에 대해 밝히고 있다. /SNS 타임즈
이번 준공된 안전체험교육원은 학생 스스로 여러 재난에 대비해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체험위주의 훈련과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시범운영을 거쳐 내년 3월 본격 운영된다.
위치는 조치원읍 서북부지구 공공청사 용지 내(서창리 308번지)로 세종시교육청교육원과 인접해 있다. 시설규모는 부지면적 7,645㎡에 연면적 4,350㎡,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마련됐다.
총사업비는 236억여 원으로 국고 70억 원, 자체예산 166억여 원이 투입됐다.
주요 시설의 특징은 재난안전, 교통안전, 생활안전, 직업안전, 응급처치 등 정부의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이 잘 구현되도록 구성됐다.
▲ 관련 사진 제공: 세종시교육청. /SNS 타임즈
특히, 지진, 풍수해 등 자연재해와 자동차, 항공, 선박, 승강기 등 일상생활 안전사고 분야별로 모두 12개 체험관을 마련했다. 이 중 산행안전체험관은 전국 시도교육청 중 유일하다.
풍수해안전체험관에서는 최대 25m/s의 바람을 일으켜 태풍과 같은 강풍을 체험하며 포켓 공간을 찾아 대피하도록 하고, 지진안전체험관에서는 지진 모의 장치로 본진과 여진을 체험하고 행동 요령에 따른 대피법을 익히도록 조성됐다.
교통안전체험관에서도 승용차 전복, 버스 갇힘, 지하철 화재 등 차량별 사고 시 탈출 방법 등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건물 외부에 야외 자전거안전체험장을 마련해 자전거는 물론 최근 안전사고가 많아지는 전동킥보드 등에 대한 안전교육도 한층 더 강화할 계획이다.
2층에는 선박안전, 항공안전, 산행안전, 생활안전, 응급안전 등 5개의 안전체험관을 배치했다.
선박과 항공안전체험관에서는 수중과 공중 각각의 교통수단에서 발생하는 사고에서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요령을 익힐 수 있다.
전국 시도교육청 중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산행안전체험관에서는 산악 조난 상황에서 신체를 보호하고, 고공 횡단과 짚라인 등 급류 지역 탈출 기구를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생활과 응급안전체험관에서도 가정 화재 등 일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가정하고, 완강기와 경사하강식구조대 등을 이용한 위기 탈출 방법과 심폐소생술을 모든 학생이 갖출 수 있도록 했다.
3층에는 소화기안전과 직업안전 등 2개의 체험관이 배치됐다.
화재 발생 시 초동 조치가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실제와 같은 상황에서 소화기 작동 요령을 정확히 익힐 수 있다.
또 추락, 탈락, 충돌 등 산업현장의 사고 유형을 알고 안전 장구의 역할을 체험해 보며 직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도록 했다.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