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scribe to Our Newsletter

Success! Now Check Your Email

To complete Subscribe, click the confirmation link in your inbox. If it doesn’t arrive within 3 minutes, check your spam folder.

Ok, Thanks

행복도시는 ‘청렴’의 반석 위에 지어진다

행복청, 지난해 22개 차관급 기관 중 종합청렴도 평가 최고 등급 달성

김가령 기자 profile image
by 김가령 기자
행복도시는 ‘청렴’의 반석 위에 지어진다
지난해 8월 김형렬 청장(오른쪽 다섯 번째)이 청렴라이브 콘서트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SNS 타임즈

전 직원이 함께 만드는 부패 없는 건설현장과 신뢰받는 공직사회

[SNS 타임즈] 균형발전이라는 역사적 대업을 수행하기 위해 세종시 일원에 행복도시를 건설 중인 행복청이 건설행정 전반의 청렴성과 안전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동안 수십 곳에 이르는 대형 건설현장을 동시에 관리하고 있는 행복청은 그간 ‘청렴’과 ‘안전’을 기치로 조직의 내부 혁신과 투명한 건설환경 조성에 앞장서 왔다.

이러한 노력이 축적된 결과, 행복청은 최근 국민권익위원회가 발표한 ‘2024년도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22개 차관급 기관 중 최고 등급을 달성하는 쾌거를 거두었다. 이러한 결과는 반부패‧청렴 분야에서 행복청이 우수한 성과와 국민 신뢰를 동시에 인정받았음을 보여준다.

비상근무 혁신 및 청렴한 조직문화로 지켜낸 ‘2024 안전사고 제로’

지난해 행복청은 건설현장에서 인명이나 재산상의 중대사고 없이 한 해를 마무리할 수 있었다. 장마특보 12회, 대설특보 16회 등 예년 대비 36%나 증가한 기상특보에도 불구하고, 비상대응체계를 선제적으로 가동하며 현장 대응능력을 크게 향상시킨 덕분이다.

행복청은 특히, 호우‧태풍‧폭설에 대비해 전 직원이 참여하는 ‘위기관리 비상계획’을 수립하고, 현장대응반을 확대‧개편하여 긴급상황에 더욱 기민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주요 공정마다 안전점검을 의무화하는 한편,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 및 품질 확보를 위해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는 등 사전 예방 중심의 현장 관리체계도 강화했다.

이러한 안전성과는 그동안 행복청이 일관된 원칙으로 지켜온 ‘청렴행정’과도 긴밀히 연결된다.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청렴을 실천하는 조직문화가 정착되면서, 감독 공무원을 포함한 행복청 내부 직원, LH 등 유관기관 및 건설사 관계자 등 모두가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태도로 업무에 임하게 된 것이다.

이는 2024년 청렴도 평가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행복청은 반부패 정책 및 제도운영을 평가하는 ‘청렴노력도’에서 전년 대비 한 등급 위에 올라섰으며, 일반 국민과 내부 직원이 느끼는 ‘청렴 체감도’ 역시 2023년보다 높은 점수를 받으며 1등급을 유지했다.

행복청, 부패와 부실시공 사각지대 없앤다… 현장중심 반부패 활동 강화

행복청은 또, 2024년 한 해 동안 현장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바탕으로 청렴 실천력을 크게 끌어올렸다. 김형렬 청장이 직접 주재하는 ‘행복청 반부패․청렴 협의회’를 총 4회 개최하면서 반부패‧청렴 정책에 대한 총괄 조정‧관리 등을 통한 투명성과 신뢰성을 제고했다.

아울러, 부실시공 방지 및 안전사고 사전 예방을 위한 청․차장의 수시 현장점검 또한 2023년 대비 60%나 늘어나는 등 현장 중심의 반부패 활동을 강화했다.

한편,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 ‘찾아가는 현장 청렴 컨설팅’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대표적으로 중대재해처벌법 등 안전․품질․반부패 관련규정 교육 및 컨설팅, 청렴리플릿 배포, 각종 민원이나 애로사항 해결창구(행복목소리) 운영 등이 꼽힌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행복청은 지난해 5월 LH세종본부와 롯데건설 등 25개 건설현장 관계자 약 80명과 함께 ‘청렴서약식’을 열고 ‘법과 원칙 준수, 부정청탁․금품수수 근절, 공정한 직무수행’을 다짐했다. 이어 9월에는 외곽순환도로 공사현장에 민관이 같이 직접 청렴메시지를 전달하는 ‘안전․반부패 캠페인’을 펼치며 청렴문화 정착에 힘을 보탰다.

지난해 8월 김형렬 청장(왼쪽 두 번째)이 2024년 제3차 ‘반부패‧청렴 협의회’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SNS 타임즈

청렴, 직원 하나하나의 실천이 모여 조직문화를 바꾸다

행복청 내부적으로는 직원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다양한 청렴활동이 전개됐다. 전형적인 강의식 교육에서 벗어나 연극, 샌드아트, 판소리로 구성된 ‘청렴 라이브 콘서트’, 청렴 미담사례, 복잡한 규정을 쉽게 풀어낸 ‘청렴쇼츠’ 등 흥미로운 콘텐츠 중심의 활동이 이어졌고, 직원 참여율이나 만족도도 높았다.

특히 반부패․청렴시책에 관심 있는 직원 14명으로 이루어진 ‘행복청 청렴지킴이’ 활동이 두드러졌다. 이들은 전 직원 청렴서약, 건설현장 관계자 청렴실천 다짐 캠페인 등 각종 청렴행사를 기획․운영하는 한편, 감사부서장과의 4회에 걸친 차담회(청렴다방)를 통해 행복청 청렴시책에 대한 피드백, 청렴과제 및 아이디어 발굴 등 조직 전반에 청렴문화가 뿌리내리는 데 기여했다.

또, 반부패․청렴을 주제로 개최한 ‘표어 경진대회’에 전 부서가 참여하여 개성 있고 참신한 표어와 더불어 유쾌한 부서 단체 사진으로 큰 호응을 이끌어냈다.

‘청렴 DNA’ 자율과 참여로 이어지다

행복청의 청렴활동은 단순한 성과지표를 넘어, 건설현장과 조직문화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실제 청렴서약에 동참한 25개 건설현장에서 임금체불 관련 민원이 크게 줄었으며, 행복청 직원의 청렴의식도 높아져 갑질․행동강령 위반 등 청렴 위반 신고 건수는 ‘0건’을 기록했다.

김형렬 행복청장은 “청렴은 도덕적 의무를 넘어 미래를 위한 투자”라면서 “오늘의 작은 변화들이 국민의 안전과 행복이라는 내일의 큰 성과로 돌아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청장은 이어 “앞으로도 우리 청은 청렴한 조직문화를 지속적으로 확립하고 국민들이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다짐을 잊지 않았다.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

김가령 기자 profile image
by 김가령 기자

Subscribe to New Posts

Lorem ultrices malesuada sapien amet pulvinar quis. Feugiat etiam ullamcorper pharetra vitae nibh enim vel.

Success! Now Check Your Email

To complete Subscribe, click the confirmation link in your inbox. If it doesn’t arrive within 3 minutes, check your spam folder.

Ok, Thanks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