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뉴스] 세종시교육청, 공립대안교육기관 설립(10.27일)
2022년 3월 개원, 조치원 세종교육원 옆 공원부지
![[다큐뉴스] 세종시교육청, 공립대안교육기관 설립(10.27일)](/content/images/2025/01/but-730.gif)
교사동, 기숙동 등 국고 30억 자체 83억 총 113억 투입
(오전 10시 현장 Live)
[SNS 타임즈] 세종시교육청은 10.27일 기자회견을 통해 2022년 공립대안교육기관 개원 계획을 발표했다.
O 일시: 2020.10.27(화) 오전 10시, 세종시교육청
O 내용: 세종시교육청 공립대안교육기관 설립
- 2022년 3월 개원, 조치원 공공청사 위치 세종교육원 옆 공원부자
- 3층 교사동, 2층 기숙동 등 국고 30억·자체 83억 등 총 113억원 투입
- Wee스쿨, 가정형Wee센터, 중·고 통합 치유적 대안교육 실현
(주요 질의 편집요약, pm 2:00 update)
1. 세종 공립형 대안교육기관의 정원은 6개 학급 60명이다. 현재 세종시 내 초·중·고의 학업중단 학생 규모는 얼마나 되나?
또, 기존 가정형 Wee센터의 경우 기숙시설이 남학생만 있다고 언급했는데 인원은 몇 명이나 있나?
2. 지금까지 가정형Wee센터의 입소자와 퇴소자는 얼마나 되나? 아울러, 기존 조치원에 위치한 기존 센터가 새로운 대안교육기관에 통합 운영되나?
3. 세종시가 교육체계 잘 돼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세종시 학생들 중 학업중단 위기에 처한 학생들은 어떤 부류인가? 또 어떤 이유가 많았나?
4. 타 지역의 경우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데, 세종의 경우 60여명이 모두 같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는 않을 것 같다, 어떻게 진행될 예정인가?
5. 공립 대안학교 설립은 역으로 보면 정규과정에서 학생들의 다양성 등을 제대로 보살피지 못해 빚어진 결과 아닌가? 대안학교 설립 후 정규과정에서 앞으로 학생들의 다양성 등을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6.코로나 의심 증상 관련으로, 학교마다 대응과 방침이 상이하다는 지적이 있다. 등교 후 증상 발현시 학교는 보건소로, 보건소는 학교 방침에 따르라는 식의 핑퐁이 있다는 것이다.
세종시교육청의 경우 방침이 없어 어떤 학교는 수업을 진행하고, 또 다른 학교는 집으로 돌려보내는 상황이 있다고 하는데 설명해 달라! (시교육청 답변: “기준 명확히 있다”, 상세 내용은 방송 참조)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