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scribe to Our Newsletter

Success! Now Check Your Email

To complete Subscribe, click the confirmation link in your inbox. If it doesn’t arrive within 3 minutes, check your spam folder.

Ok, Thanks
비트코인 8만 달러 붕괴 위기… 시장은 왜 흔들리고 있나?
Photo by André François McKenzie / Unsplash. /SNS 타임즈

비트코인 8만 달러 붕괴 위기… 시장은 왜 흔들리고 있나?

암호화폐 시장, 1주일 만에 1.2조 달러 증발에도 반등 신호 포착

Jason Jung profile image
by Jason Jung

[SNS 타임즈- LA] 최근 비트코인(BTC)이 7개월 만에 최저치인 8만 7천 달러 선 아래로 급락하며 암호화폐 시장 전체가 요동치고 있다.

지난 7일 동안 시가총액 1조 2천억 달러(약 1,680조 원)가 증발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연준(Fed) 정책 변화 기대와 XRP ETF 출시 등 대형 호재가 연쇄적으로 터지면서 시장은 극심한 롤러코스터 장세를 연출하고 있다.

비트코인, 8만 7천 달러 붕괴 직전… 고래 매도 압력 극심


26일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86,728달러를 기록하며 8만 5천 달러 지지선 테스트에 들어갔다. 코인글래스(Coinglass) 데이터에 따르면 최근 48시간 동안 45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으며, 대부분 롱 포지션이었다.

전체 암호화폐 시장 시가총액은 3.46조 달러로 전일 대비 2.6% 하락했으나 24시간 거래량은 292억 달러로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편집 자 주)

  1. 고래 (Whale): 암호화폐를 거액·대량으로 보유하고 있는 개인 또는 기관 투자자를 일컫는 시장 표준 용어
  2. 프로-크립토 인사(Pro-Crypto Figure):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산업을 명확히 지지하고 우호적인 정책을 펴는 사람을 뜻하는 업계 표준 표현

트럼프 행정부發 연준 의장 교체설… “프로-크립토 인사 유력”


가장 강력한 반등 촉매로 꼽히는 것은 연준 의장 교체설이다.

복수 언론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현 제롬 파월 의장을 대신해 ‘암호화폐 친화적’ 경제학자인 케빈 하셋 전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CEA)을 낙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셋은 과거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이라며 공개적으로 긍정적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시장은 그의 취임 시 금리 인하 속도가 빨라질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다.

XRP ETF 현실화… 그레이스케일·프랭클린 템플턴 동시 출시


추수감사절 직전, 그레이스케일과 프랭클린 템플턴이 각각 XRP 현물 ETF를 공식 론칭했다.

리플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는 “기관 자금이 대거 유입될 것”이라며, “2026년 1분기 내 XRP 가격 10달러 돌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중국 AI 모델 딥시크(DeepSeek)는 2025년 말 XRP 목표가를 1.50달러에서 상향 조정했으며, 알리바바 클라우드 AI 역시 XRP·ADA·DOGE에 대해 낙관적 전망을 내놓았다.

보안 경고음… 샘 알트먼 전 연인 집서 1,100만 달러 강도 사건

시장 급락과 동시에 물리적 보안 위협도 급증하고 있다.

25일(현지시간) 샘 알트먼 전 연인의 샌프란시스코 자택에서 가짜 배달원을 가장한 무장 강도들이 침입, 하드웨어 지갑 비밀번호를 강제로 빼앗아 약 1,10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탈취했다.

올해 들어 미국 내 ‘렌치 어택’(wrench attack) 관련 사건은 최소 5건으로 집계됐다.

테더, 3분기 26톤 금 매입… 중앙은행보다 많아

스테이블코인 최대 발행사 테더(Tether)가 3분기에만 26톤의 실물 금을 매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같은 기간 대부분의 중앙은행 금 매입량을 초과하는 수치로, USDT의 실물 자산 담보 강화 전략으로 해석된다.

기타 주요 이슈로는 스웨덴 BNPL(후불결제) 공룡 클라나(Klarna) CEO는 “암호화폐를 잘못 판단했다”며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출시 선언했다. 또 트럼프 가족 크립토 프로젝트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은 770만 달러 규모 자사 토큰 바이백을 발표했다.

현재 시장은 단기적으로 81,000~85,000달러 구간에서 바닥을 다진 후 연말 랠리를 재개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다만 고래 매도 물량 소화와 물리적 보안 리스크는 여전히 불안 요소로 남아 있다.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

Jason Jung profile image
by Jason Jung

Subscribe to New Posts

Lorem ultrices malesuada sapien amet pulvinar quis. Feugiat etiam ullamcorper pharetra vitae nibh enim vel.

Success! Now Check Your Email

To complete Subscribe, click the confirmation link in your inbox. If it doesn’t arrive within 3 minutes, check your spam folder.

Ok, Thanks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