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scribe to Our Newsletter

Success! Now Check Your Email

To complete Subscribe, click the confirmation link in your inbox. If it doesn’t arrive within 3 minutes, check your spam folder.

Ok, Thanks

"3년간 최초·최고·최다·최장 성과 달성"... 이장우 시장, 민선8기 대전환 완성 의지 피력

남은 1년 향후 과제... 최종-최상-최대-최단 방향으로 추진 의지 밝혀

정대호 기자 profile image
by 정대호 기자
"3년간 최초·최고·최다·최장 성과 달성"... 이장우 시장, 민선8기 대전환 완성 의지 피력
24일 민선 8기 3주년을 맞아 대전시정의 성과와 향후 과제를 발표하고 있는 이장우 대전광역시장. /SNS 타임즈

도시브랜드 평판 5개월 연속 1위, 주민만족도 6개월 연속 전국 1위 기록

[SNS 타임즈] 이장우 대전광역시장은 24일 민선 8기 3주년을 맞아 대전시정의 성과와 향후 과제를 발표했다. 이 시장은 "지난 3년은 그 누구도 걷지 않았던 길을 개척해 온 시간이었다"며, "이제 남은 1년은 끝까지 책임지는 자세로 민선 8기의 대전환을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그간의 성과를 '최초', '최고', '최다', '최장'이라는 네 가지 키워드로 요약하고, 향후 과제는 '최종', '최상', '최대', '최단'이라는 방향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전국 최초 도전으로 혁신 도시 기반 마련

'최초' 성과로는 세계 최초 경제과학도시연합(GINI) 창립을 통해 글로벌 도시로의 첫발을 내디뎠으며, 대한민국 최초로 우주산업 클러스터 삼각체제에 지정되어 초소형위성 대전샛 개발과 우주기술혁신 인재양성센터 설립을 본격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국가첨단전략산업 바이오 특화단지와 글로벌 혁신특구 지정, 국방반도체사업단 출범으로 방위산업 중심 도시로 성장할 기반을 확보했다. 지방 최초의 공공투자전문기관인 대전투자금융 설립과 기회발전특구 2개소 확보도 기업 성장 기반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

복지 정책에서도 특·광역시 최초 청년부부 결혼장려금, 전국 최초 2자녀 가정 도시철도 무료 혜택, 70세 이상 어르신 무임교통 등 선도적인 성과를 이뤘다. 교통 인프라에서는 국내 최초 수소전기트램과 3칸 굴절형 신교통수단 도입, 비수도권 최초 광역급행철도(CTX) 선정 등 새로운 역사를 써가고 있다.

각종 지표에서 전국 최고 수준 달성

'최고' 성과로는 도시브랜드 평판지수에서 특·광역시 중 5개월 연속 1위를 기록했고, 주민생활만족도 또한 전국 1위를 6개월 연속 차지했다. 경제성장률은 서울에 이어 전국 2위, 1인당 개인소득은 3위에 올랐으며,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비수도권 1위를 기록했다.

인구 정책에서도 혼인 건수와 증가율 모두 전국 1위, 출생아 수는 전국 3위를 기록했고, 청년의 삶의 만족도는 전국 2위, 아동 안전사고 사망률은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달성했다. 문화와 관광 분야에서도 대한민국 축제박람회 콘텐츠 부문 최우수상, 국제관광박람회 광역시 부문 1위 수상 등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투자유치와 산업 육성에서 역대 최다 실적

'최다' 성과로는 상장기업 수가 66개로 광역시 중 세 번째, 시가총액은 68조 원으로 두 번째를 기록했다. 바이오 기업의 기술 수출액은 12조 5,376억 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달성했으며, 외국인 직접 투자액도 비수도권 중 두 번째로 많았다.

국내외 기업투자유치는 91개 사에 달하며 총 2조 4,794억 원의 실적을 올렸고, 산업단지 조성도 일반산단과 국가산단을 포함해 역대 최다 수준으로 이뤄졌다. 올해 소상공인 지원 예산은 1,082억 원으로 광역시 중 가장 많았으며, '1993 대전엑스포' 이후 단일 행사 최대 관람객을 기록한 0시 축제에는 200만 명이 방문했다.

장기 숙원사업들이 연이어 해결

'최장' 기간 멈춰 있었던 대전의 핵심 숙원사업들이 민선 8기 들어 속속 해결되고 있다. 28년을 기다려 온 도시철도 2호선 트램이 착공됐고, 15년간 표류했던 유성복합터미널도 올해 말 준공을 앞두고 있다. 18년 동안 해묵었던 사정교~한밭대교 도로 개설 예비타당성조사가 통과되었고, 14년 숙원이던 장대교차로도 입체화로 추진된다.

50년 만에 대전조차장은 도심철도 입체화 사업으로 전환됐으며, 36년간 미뤄졌던 하수처리장 현대화와 23년간 방치된 폐기물 제2 매립장도 본격 공사에 들어갔다. 35년 숙원이던 동대전도서관 개관, 20년 이상 논의된 대전역세권 복합개발 추진, 50년 만의 대덕특구 규제 완화 등 굵직한 현안들이 빠르게 해결되고 있다.

향후 1년, 4가지 방향으로 대전환 완성

향후 1년간 추진할 과제는 앞선 성과를 확산하고 완결하는 데 방점이 찍혔다. '최종' 목표로는 대전 충남 행정통합, 혁신도시 공공기관 2차 이전, 우주기술혁신 인재양성센터 구축, 반도체종합연구원 설립, 방산혁신클러스터와 로봇드론지원센터 조성 등이 포함됐다.

'최상' 전략으로는 대덕 양자클러스터 조성, 국방 반도체 팹 구축 및 방산 소부장 특화단지 조성, 국가첨단전략산업 바이오 혁신신약 특화단지 및 첨단 바이오 메디컬 혁신지구 조성 등 산업과 문화, 도시브랜드를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과제들이 제시됐다.

'최대' 목표는 대전투자금융 5,000억 원으로 확대, 기회발전특구 추가 지정, 스타트업파크 확대, 소상공인·자영업자 초저금리 특별자금 확대, 0시 축제 확대 등이다. '최단' 기간 완료 목표로는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성, 안산 국방산업단지 조성,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 충청권 광역철도 추진 등 다수의 핵심 프로젝트들이 포함됐다.

이장우 시장은 브리핑을 마무리하며 "최고의 시민과 함께 최선을 다해 최대의 성과를 만들어온 3년이었다"고 평가하고, "앞으로의 1년은 최종까지 밀어붙여 최상의 결과로 최후에 웃을 수 있는 대전을 만들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 Copyright, SNS 타임즈 www.snstimes.kr

정대호 기자 profile image
by 정대호 기자

Subscribe to New Posts

Lorem ultrices malesuada sapien amet pulvinar quis. Feugiat etiam ullamcorper pharetra vitae nibh enim vel.

Success! Now Check Your Email

To complete Subscribe, click the confirmation link in your inbox. If it doesn’t arrive within 3 minutes, check your spam folder.

Ok, Thanks

Read More